[글로벌증시 조정] "美증시 급락 뒤에는 '에볼라 공포'가…"
美증시, 에볼라 잡아야 반등한다?
[이투데이/뉴욕특파원=민태성 기자(tsmin@etoday.co.kr)]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세를 지속하고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에볼라 공포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월가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정부가 에볼라 사태를 통제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때까지 시장이 출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경제전문방송 CNBC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데이비드 쿠들라 메인스테이캐피털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를 투자자들이 신뢰하고, 병원의 치료 체계에 대해 안심할 때까지 시장의 충격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CNBC방송의 주식 전문가 짐 크레이머는 “상당수의 기업이 호전된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은 투자자들이 에볼라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에볼라 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관련업종의 주가는 앞으로도 상당한 부침을 겪을 전망이다. 에볼라 치료제를 개발·생산하는 일부 생명공학기업의 주가는 급등했지만, 에볼라 사태에 따른 여행 위축 등의 우려로 항공업종과 호텔·숙박업종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볼라 사태가 증시를 좌우할 펀더멘털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조 테라노바 버튜스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수석 투자전략가는 “에볼라 충격이 엄청난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중대한 헤드라인인 것은 맞지만, 해결책을 찾을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한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틀째 외부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대책 마련에 나섰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오바마 대통령이 에볼라 상황을 주시하기 위해 백악관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일 코네티컷 주지사 선거 지원 유세 일정을 연기하고 백악관에서 관계 부처·기관 당국자들과 함께 에볼라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오바마 행정부는 에볼라 확산 우려가 있는 텍사스주 댈러스카운티에 비상사태(state of disaster)를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국 내 첫 에볼라 환자를 돌보던 텍사스주 댈러스 텍사스건강장로병원의 간호사 2명이 잇따라 에볼라 양성판정을 받았고, 이 중 한 명이 비행기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퍼지고 있다.
===============================================================
[글로벌증시 조정] "美증시 급락 뒤에는 '에볼라 공포'가…"
[뉴욕=뉴스핌 박민선 특파원] 미국 증시가 최근 급락세를 지속하고 있는 배경 중에는 에볼라에 대한 공포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6일(현지시각) CNBC의 주식 전문가인 짐 크래머는 "에볼라에 대한 공포가 증시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양한 재료들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지만 최근 트레이더들이 주식 매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죽음의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크래머는 "많은 기업들이 좋은 실적을 내놓고 있지만 이에 대한 관심이 낮은 수준"이라면서 이는 투자자들이 에볼라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증시는 텍사스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양성반응을 보인 감염자가 추가 확인되면서 더욱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정부와 질병통제관리센터(CDC)는 바이러스 치료 및 통제에 대해 자신하고 있지만 시장 참여자들은 이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며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크래머는 "정부가 에볼라에 대한 대응에서 신뢰를 얻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5일과 16일 이틀간 모든 외부 일정을 취소한 채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일 "보다 더 공격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에볼라의 심각한 확산을 막아낼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달라스의 텍사스건강장로병원 간호사 2명은 에볼라 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은 상태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