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전망·일정

주간일정 2013 ( 10.28. - )

정석_수학 2013. 10. 28. 15:38

- 10월 28일(월)


2000        英   9월      토지등기소 주택가격지수

2000        英   10월     CBI 소매판매량지수

2130        美   9월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중서부 제조업지수(연기)

2215        美   9월      산업생산&설비가동률

2300        美   9월      펜딩주택판매

2330        美   10월     텍사스 제조업 전망조사 


- 10월 29일(화)


0730        濠            글렌 스티븐스 호주중앙은행(RBA) 총재 연설

0800        한국

0830        日   9월      실업률

0830        日   9월      가계지출

0850        日   9월      소매판매(예비치)

1730        EU   9월      유로코인(EuroCOIN) 경제활동지수

1830        英   9월      영란은행(BOE) 실질금리

2045        美   10/26    ICSC-골드만삭스 연쇄점판매지수

2130        美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2130        美   9월      소매판매

2155        美   10/26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2200        美   8월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2300        美   8월      기업재고

2300        美   10월     소비자신뢰지수

0530(30일)  美   10/25    API 주간석유보고서

N/A         美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N/A         美            세계은행(WB)·IFC '기업경영' 연례보고서

N/A         英            WIEF 세계 이슬람 경제 포럼 1일차


- 10월 30일(수)


0850        日   9월      산업생산(예비치)

1300        日   9월      자동차수출

1300        日   9월      자동차생산

1800        EU            유럽중앙은행(ECB) 은행대출 조사

1900        EU   10월     산업동향지수&경기체감지수

2000        美   10/25    모기지은행협회(MBA) 주간 모기지 신청건수

2115        美   10월     ADP 고용보고서

2130        美   9월      실질소득

2130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2200        獨   10월     CPI

2300        美   10월     온라인 구인광고지수

2330        美   10/25    에너지정보청(EIA) 주간 석유재고

0300(31일)  美            FOMC 정례회의·통화정책 결정

N/A         英            WIEF 세계 이슬람 경제 포럼 2일차


- 10월 31일(목)


0815        日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0901        英   10월     소비자신뢰지수

0930        濠   Q3       수입물가

0930        濠   9월      건축허가건수

0930        濠   9월      민간부분 부채

1330        日   9월      석유통계보고서(예비치)

1400        日   9월      건설수주

1400        日   9월      신규주택착공건수

1600        英   10월     전국주택가격지수

1600        獨   9월      소매판매

1610        獨   11월     GfK 소비자체감지수

1900        EU   9월      실업률

1900        EU   10월     CPI(예비치)

2130        美   10/26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수

2245        美   10월     시카고 PMI

2245        美            블룸버그 소비자신뢰지수

2300        美   10/19    DJ-BTMU 경기지표

2330        美   10/26    EIA 주간 천연가스재고

0200(1일)   美   10월     다우존스 경기체감지수

0400(1일)   美   10월     곡물가격

0500(1일)   美            재무부 미국 해외채권 보유량 발표

0530(1일)   美            연방준비제도(Fed) 할인창구대출

0530(1일)   美            외국중앙은행 미 국채 보유량

N/A         濠   9월      HIA 신규주택판매

N/A         日   9월      고용보고서

N/A         英            WIEF 세계 이슬람 경제 포럼 종료

N/A         日            일본은행(BOJ) 통화정책회의


- 11월 1일(금)


0730        濠   10월     AIG 제조업지수

0930        濠   Q3       PPI

1000        中   10월     제조업 PMI

1045        中   10월     HSBC 제조업 PMI(최종치)

1400        日   10월     자동차판매

1430        濠   10월     원자재가격

1830        英   10월     CIPS 제조업 PMI

2200        美   10월     제조업 PMI

2210        美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세인트루이스 지역의회금융포럼 참석

2300        美   10월     ISM 제조업 PMI

0100(2일)   美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은 총재 세계시민상 수상

0500(2일)   美   10월     국내 자동차판매

N/A         美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 지역은행가심포지엄 연설

N/A         美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알 말리키 이라크 총리 회동










▲ 10월 FOMC, 테이퍼링 여부보다는 연준 관계자 발언 = 29일과 30일 이틀에 걸쳐열리는 미국의 10월 FOMC 정례회의는 달러화 레벨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단 미국 연방정부 부분 업무 정지의 여파로 이번 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이 시행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16일간의 정부 폐쇄로 주요 경제지표의 발표가 연기됐고,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예상외로 부진한 모습을 나타낸 만큼 연준이 꺼내들 수 있는 카드는 얼마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정부 셧다운의 영향으로 일부 경제지표의 자료 집계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지표 자체의 신뢰성도 낮아진 상태다. 캘리포니아 주의 컴퓨터 오류로 미국 노동부가 지난주 내놓은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됐기 때문이다. 여러 측면에서 연준이 이번 달 FOMC 회의에서 중요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FOMC 회의에서는 정책 자체보다는 연준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에 시선이 집중될 전망이다. 연방정부 부분 업무정지가 미국 경기에 미치는 영향과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에 대한 연준 관계자들의 발언이 글로벌 달러, 서울환시에서 달러화 레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 5년 만의 공조, 전면에 나선 당국 = 최희남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과 유상대 한은 국제국장은 지난 24일 "정부와 한은은 최근 달러-원 환율의 일방적인 하락 움직임이 다소 과도하다고 생각하며, 시장 내 쏠림현상이 심화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두개입 직후 강력한 실개입이 이뤄지며 지난 목요일 달러화는 1,060원대로 진입했다. 

기재부와 한은이 공동명의로 구두개입에 나선 것은 지난 2008년 7월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서울환시에서 달러화의 하락세가 지속되며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연저점 아래로 내려가자 당국이 결국 전면에 나선 것이다.

무엇보다 당국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심리'의 쏠림이다. 실수급 측면에서의 쏠림은 반발성 매수·매도세가 나오며 해소될 수 있지만, 환시 참가자들의 심리가 돌아서면 여러 방법을 동원해도 쏠림현상을 완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목요일의 당국 개입은 환시 참가자들의 심리를 되돌리려는 충격요법의 성격도 지녔던 셈이다.

이처럼 당국이 전면에 나서며 환시 참가자들의 달러 매도 심리는 상당히 위축된 상황이다. 달러화가 지난주 연저점을 하향 돌파했지만, 연말까지 다시 해당 수준으로 되돌아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확산되는 중이다.

따라서 이번 주 서울환시에서 실물량과 포지션 플레이로 달러화가 하락해도 1,055원 주변에서 지지될 가능성이 크다. 또 저점 확인 판단에 따른 일부 환시 참가자들의 롱플레이 가능성이 있으며, 수입업체의 결제수요가 활발하게 나올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 국내외 경제지표 발표 일정은 = 한국은행은 29일 9월 국제수지를 발표한다. 경상수지 흑자 기조 지속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흑자폭에 시선이 집중된 상황이다. 경상수지 흑자폭이 더 확대될지도 관심사다.

기획재정부는 30일 9월 산업활동동향과 1일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내놓는다.

이번 주 미국에서는 주요 지표의 발표가 잇따라 예정된 상태다. 28일 9월 산업생산과 펜딩주택판매, 29일 9월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매판매, 8월 기업재고와 10월 소비자 신뢰 지수 등이 나온다. 또 30일에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실질소득, 1일에는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특히 정부 셧다운의 여파가 이번 주 발표되는 10월 지표들에 반영될지 주목된다.

이외에도 31일 유로존의 9월 실업률과 1일 중국의 10월 제조업 PMI 등의 발표도 예정된 상태다.




'주간 전망·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일정 2013 ( 11.11 - )  (0) 2013.11.10
주간일정 2013 ( 11.04 - )  (0) 2013.11.04
주간일정 2013 ( 10.14. - )  (0) 2013.10.11
주간일정 2013 ( 09.30.. - )  (0) 2013.09.27
- 9월 23일(월)  (0) 201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