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10522821&sid=0105&nid=005<ype=1
유럽중앙銀 마이웨이 … "우린 출구로 간다"
"유로존 경기회복 모멘텀"
트리셰, 내달 금리인상 시사
유로화 가치 10개월래 최고
입력: 2010-11-05 17:37 / 수정: 2010-11-05 17:37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ECB는 출구전략을 고수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 이 영향으로 유로화 가치는 10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특별 정책들은 일시적이어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리셰 총재는 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1%로 동결키로 발표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책입안자들이 다음 달에는 출구를 향해 한발 더 나아가는 조치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금융위기를 맞아 취했던) 통상적이지 않은 조치들은 말 그대로 일시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ECB는 이미 금융위기 상황에서 취했던 특별 조치들의 상당 부분을 거둬들였다. 트리셰 총재는 이와 함께 "(유로존의) 경기회복 모멘텀은 긍정적"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도 "약간 상승 쪽으로 기울긴 했지만 여전히 높지 않은 상태"라고 진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ECB의 출구전략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추가 양적완화와 아일랜드 포르투갈 그리스 등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주변국'의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 유로화 가치가 오르면 유럽의 경제회복이 더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일랜드와 포르투갈 그리스 국채 금리는 지난주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향후 재정위기 발생으로 구제금융을 받게 되는 회원국들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다는 내용이 합의된 후 계속 오르고 있다. 국채 투자에 대한 손실 부담을 불안해 하는 투자자들이 재정이 취약하다고 평가받는 국가들의 채권을 내다 팔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아일랜드 10년 만기 국채는 벤치마크인 독일 국채와의 금리차(프리미엄)가 사상 최고인 5.2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포르투갈과 그리스 국채의 프리미엄도 각각 4.09%포인트와 8.56%포인트로 상승했다.
바클레이즈캐피털의 유럽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ECB 발표문과 기자회견 내용만 보면 바로 전날 FRB가 새로운 경기부양책을 내놨다는 것을 알 수 없을 것"이라며 "ECB는 여전히 내 갈길을 간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유로화 상승 압력 더 커져
트리셰 총재의 발언 여파 등으로 유로화는 유로당 1.4283달러까지 치솟았다. 10개월 만에 최고다. 유로화는 지난 6월 초 이후 달러화 대비 19%나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유로화가 연말에는 1.44달러 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본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재무장관은 "FRB의 추가 양적완화로 유로화가 상승 압박을 받을 것"이라며 "FRB의 정책을 평가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 통화시스템과 협력 메커니즘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트리셰 총재는 FRB 결정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피하면서도 "미국이 자국의 수출 경쟁력을 위해 고의적으로 달러 가치를 낮추는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FRB의 양적완화 조치로 자국 통화가치의 상승 압력이 커진 국가들이 불만을 터뜨리는 상황에서 미국을 두둔한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ECB의 행보가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움직임과는 차별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ECB와 FRB의 정책 간격이 더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영국 중앙은행(BOE)은 이날 기준금리를 0.5%로 유지하는 한편 2000억파운드(약 3250억달러)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지속한다고 밝혔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DCD=A00303&SCD=DD21&newsid=02145126593162768
ECB의 `독자행보`..美연준과 차별화
ECB, 18개월 연속 1% 금리 동결
유로 강세·재정불량국 우려 심화
입력시간 :2010.11.05 13:59[이데일리 김기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양적완화로 각국 중앙은행들의 연쇄적인 양적완화 조치가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은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ECB가 유로화 상승과 일부 유럽 국가들의 재정건전성 우려에도 새로운 경기부양책 계획을 내놓지 않았다며 공격적인 정책을 펼치는 미 연준을 비롯해 다른 중앙은행들과의 정책 간극이 더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ECB는 정례 금융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1%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18개월 연속 동결 결정이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불확실성이 있긴 하지만 유로존의 경제 모멘텀은 긍정적"이라며 금리 동결의 배경을 설명했다. 또 "현재의 금리 수준은 적절하며 물가도 계속해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당분간 통화정책을 현행대로 유지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양적완화로 달러 약세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ECB가 아무런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는 소식에 유로화 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날 유로-달러 환율은 장중 1.4282달러까지 오르며 9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무건전성이 떨어지는 유럽 국가들의 채권시장 역시 크게 흔들렸다.
점진적인 출구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ECB로서는 경기부양책 시행에 대해 회의적이다. 유로존 국가들이 미국과 마찬가지로 높은 실업률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는 부양책으로 단순히 해결 불가능한 구조적인 문제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또 부양책을 시행하려 해도 16개 회원국 간의 경제 격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인 것이 사실.
그러나 유로화 강세가 계속되면서 유럽 국가들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데다 아일랜드와 포르투갈, 그리스 등 이른바 유럽 재정불량국들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불안감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ECB의 '마이 웨이'는 유로존 경제에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제니퍼 맥키언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ECB가 현 상황의 심각성에 대해 충분히 감안하고 있지 않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글로벌 수요는 둔화되고 있고 유로화는 계속 오르고 있다"며 "이는 유럽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X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1050410i&sid=0105&nid=005<ype=1
美 추가 양적완화 불구 유럽중앙은행의 `my way`
입력: 2010-11-05 06:07 / 수정: 2010-11-05 06:32
[0730]미국의 추가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ECB(유럽중앙은행)는 출구전략을 고수할 의사가 있다고 장 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가 시사했다.이 영향으로 유로화 가치는 10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리셰 총재는 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1%로 동결키로 했다고 발표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책입안자들이 다음달에 출구를 향해 한발 더 나아가는 조치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 이라며 “(금융위기를 맞아 취했던) 통상적이지 않은 조치들은 말 그대로 일시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트리셰 총재는 또 “(유로존의) 경기회복 모멘텀은 긍정적” 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도 약간 상승쪽으로 기울긴 했지만 여전히 높지 않은 상태”라고 진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와관련,ECB의 출구전략이 FRB의 추가 양적완화와 다시 불거지고 있는 아일랜드 포르투갈 그리스 등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채권 금리가 상승(채권값 하락)하고 유로화 가치가 오르면 유럽의 경제 회복이 더뎌질수 있다는 것이다.
아일랜드와 포르투갈 그리스의 국채금리는 지난주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향후 EU차원의 구제금융을 제공할 때 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지운다는 내용이 합의된 후 계속 오르고 있다.불안한 투자자들이 재정이 취약하다고 평가받는 국가들의 채권을 내다팔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아일랜드 10년만기 국채는 벤치마크인 독일 국채와의 금리차(프리미엄)가 사상 최고인 5.25%포인트까지 벌어졌다.포르투갈과 그리스 국채의 프리미엄도 각각 4.09%포인트와 8.56%포인트로 상승했다.
바클레이스캐피탈의 유럽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ECB 발표문과 기자회견 내용만 보면 바로 전날 FRB가 새로운 경기부양책을 내놨다는 것을 알수 없을 것” 이라며 “ECB는 여전히 내 갈길을 간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트리셰 총재의 발언 여파 등으로 유로화는 유로당 1.4283달러까지 치솟았다.“최근 10개월 만에 최고치다.유로화는 지난 6월 이후 달러화 대비 19%나 상승했다.전문가들은 유로화가 연말에는 1.44달러 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ECB의 행보가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움직임과는 차별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영국중앙은행(BOE)은 이날 기준금리를 연 0.5%로 유지하는 한편 2000억파운드(3250억달러)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일본중앙은행(BOJ)은 5일 금융정책결정회의 결과를 발표한다.BOJ는 지난달 회의에서 5조엔(약 600억달러) 규모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한 바 있다.
'뉴스-미국제외 > 뉴스 - 유럽·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재정 위기 현황과 전망 (0) | 2010.12.02 |
---|---|
아일랜드 `제2 유럽위기` 진앙 되나 (0) | 2010.11.10 |
유럽 증시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0) | 2010.10.25 |
핌코 "영국 신용등급 1년안에 강등될 것" (0) | 2010.04.02 |
영국 총선이후 리스크 (0) | 201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