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환-주간] 환율의 미래 묻거든 고개들어 '美 고용' 보라
(서울=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이제 국내외 물가로 달러-원 환율을 그려보는 시대는 지났다.
물가는 안정권에 접어들었고 예상을 크게 밑돌지만 않는다면 앞으로는 고용 등 경기 지표가 달러-원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칠 요소로 보인다.
이번 주(9월2~6일)는 바로 그 '고용' 주간이다. 잇따른 고용 지표에 우리 달러-원 환율을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달러-원 환율 레인지는 1,320~1,340원 수준으로 추정한다.
◇지난주, 잭슨홀 소화 후 네고vs결제 싸움
지난주 초반은 잭슨홀 심포지엄 여파가 우리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지난 24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빅컷(금리 50bp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듯한 이야기를 했다.
이에 우리 외환시장은 26일 1,319.40원까지 하락했다.
26일이 지나고서는 큰 지표 발표가 없는 탓에 외환시장은 주로 수급에 영향을 받는 분위기였다.
월말 네고물량이 투하됐지만, 그만큼 우리 증시에서 빠져나간 자금,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가 겹치면서 하단을 지지하는 모습이었다.
주말로 갈수록 1,330원대 중반 이후에서는 수출업체 네고, 1,330원대에서는 결제 수요가 강한 모습이었다. 양측은 치열했다.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한 7월 개인소비지출(PCE) 결과는 연장 시간대 달러-원 환율에 오히려 상방 압력을 주기도 했다.
역외는 2주 전에 이어 지난주에도 대부분 매도 포지션이었다.
◇문제는 고용
시장의 기대는 이제 다른 곳에 있어 보인다.
우리는 지난주 두 가지 지표에서 이를 확신할 수 있었다.
독일 8월 물가 지표와 미국 7월 PCE다.
우선 지난달 29일 독일 8월 전체 물가에 앞선 노트르라인 베스트팔렌주(州)의 지표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자 유로화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됐고, 곧바로 약세로 전환했다.
이에 달러는 강세로 바뀌었지만, 오래 가지 않아 '쏠림'이라 판단하고 제자리로 돌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달러-원 환율이 영향을 준 것은 같은 날 나온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결과였다. 시장의 기대치를 웃돌면서 달러-원 환율은 연준의 '빅컷' 기대감 퇴색에 상승세를 탔다.
이튿날인 지난달 30일에도 미국의 PCE 결과도 우리가 그간 알던 경로와 반대로 달러-원 환율에 영향을 미쳤다.
7월 PCE는 시장의 전망치에 부합했다. 그런데도 달러-원 환율은 오히려 위로 튀었다.
소비가 더욱 약해질 수 있다는 시장의 기대감을 충족하지 못했고, 빅컷 기대감이 사그라지면서 달러-원 환율이 위로 올라선 것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이제 대세는 특별하지 않고서야 물가 지표가 아닌 듯하다.
우리가 새롭게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은 미국의 경기, 그중에서도 고용이다.
마침 이번 주는 고용 '빅 위크'다.
오는 4일 미국 7월 구인ㆍ이직 보고서(JOLTs)가 나온다.
그다음 날(5일)에는 지난달 31일이 기준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 발표가 있다. 민간 지표인 ADP 고용보고서도 있다.
6일에는 미국 8월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ㆍ실업률이 우리가 마주칠 지표다.
경기판단도 있다. JOLTs와 같은 날에 나오는 연준 베이지북은 외환시장에서 꼭 챙겨봐야 할 재료다.
또 하나, 이런 분위기에 근거해 '나쁜 뉴스는 좋은 뉴스다'는 더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고용이 나쁘면 나쁜 대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또 반대면 그 반대편으로 우리 시장은 반응할 수 있다. 방향성을 찾기는 참 어렵다는 이야기다.
이런 가운데 외환딜러들은 역외 포지션을 주시하는 모습이다.
역외들은 2주 전에 이어 지난주에도 매도 포지션으로 일관했다.
이야기를 들어보면, 달러 매도에 대한 분위기는 확실히 강해진 상황이고, 어느 정도 계기만 보인다면 우리 환시에 변화를 끌어오기도 했다.
아무래도 역외는 연내 한국은행은 금리를 못 내리고, 미국은 여러 번 내릴 수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
1,330원대 밑에서는 결제수요가 탄탄했다.
1,340원 선 위에서는 네고물량이 투하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1,320~1,340원'이 이번 주 달러-원 환율 레인지로 타당하다는 생각이다.
◇ 이번 주 국내외 경제 이벤트는
앞서 소개한 고용지표 발표를 제외하고는 오는 2일 중국 8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지수(PMI)가 발표된다.
3일에는 미국 8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가 찾아온다.
4일에는 8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유로존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캐나다중앙은행(BOC) 기준금리 결정이 자리 잡고 있다.
5일에는 미국 8월 ISM 비제조업 PMI가 발표된다.
jwcho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채권-주간] 조정 심리 우위…美 고용 대기
(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이번 주(9월2~6일) 서울 채권시장은 국내 8월 소비자물가와 미국 고용 등 주요 경제 지표를 소화하는 가운데 약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큰 폭 늘어난 내년도 국고채 발행에 대한 부담이 커진 가운데, 부동산 시장 상황에 대한 통화당국의 경계감도 상당한 영향이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빅컷(50bp) 인하를 정당화할 정도로 고용 등 지표가 약하지 않다면 금리가 강하게 하락할 여건은 아니라는 평가가 우위다.
이번 주 국내에서는 지표 및 일정이 많지 않다. 통계청은 오는 3일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한국은행은 5일 2분기 GDP 수정치를 내놓고, 6일에 7월 국제수지를 발표한다.
이날 발표된 우리나라의 올해 8월 수출은 작년보다 11.4% 증가하면서 11개월 연속 증세를 이어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국회에 주간 내내 출석할 예정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3일 세계 경제와 금융안정 콘퍼런스에 참석한다. 이 콘퍼런스에는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이 패널 토론 진행자로 나설 예정이다.
해외에는 7일 발표될 미국의 8월 고용지표가 핵심이다. 오는 3일과 5일 각각 예정된 공급관리협회(ISM)의 8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미국 경제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다.
캐나다중앙은행은 오는 4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 지난주 금리 반등…예산안 충격·이창용 매파발언
지난주(8월26일~30일) 국고채 3년물 금리(민평금리 기준)는 일주일 전보다 3.8bp 올라 2.955%, 10년물 금리는 8.3bp 상승해 3.088%를 나타냈다.
10년과 3년 스프레드는 13.3bp로 한 주 전보다 4.5bp 올라 수익률곡선이 가팔라졌다. (커브 스티프닝)
내년 예산안에서 국고채 발행규모가 20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면서 수급 부담이 급부상했다.
한은의 매파적인 발언도 이어졌다. 이 총재는 과열 조짐인 부동산 시장 상황에 연일 경고장을 날렸다. 그는 "생각보다 올라가는 속도가 빠르다"며 "이걸 어떻게든지 컨트롤할 것"이라고도 했다.
금통위 내 대표적인 비둘기파로 꼽히는 신성환 금통위원도 집값이 계속 상승하는 상황이면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발언을 내놓는 등 부동산 상황에 대한 통화당국의 위기감이 생각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3년 국채선물을 약 1만1천398계약 순매도했고, 10년 국채선물도 9천499여계약 순매도했다
뉴욕 채권시장도 예상보다 양호한 미국의 소비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약세 흐름을 나타냈다.
미국의 계절 조정 기준 2분기 GDP는 전기 대비 연율 3.0%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달 발표된 속보치 2.8%보다 높은 수치다.
7월 개인소비지출(PCE)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가계의 소비지출은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전월치인 0.3% 증가보다 개선됐다.
주요국 장기금리 가운데 미국 국채 10년 금리는 10.4bp 올랐고, 2년 금리는 0.4b
p 상승했다. 호주 10년 금리는 4.7bp 상승했다. 일본 10년 금리는 0.22bp 올랐다.
◇ 약해진 자신감…조정 장세 전망
시장 참가자들은 당분간 약세 분위기가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 및 폭에 대한 기대가 점차 후퇴하는 가운데, 내년 대규모 국고채 발행이 예고된 만큼 현재 레벨에서 금리가 추가 하락할 공간이 어느 정도일지에 대한 고민을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진단이다.
9월 국채선물 만기를 앞두고 그동안 대대적 순매수 포지션을 쌓은 외국인의 포지션 조정 여부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요인이다.
연준의 9월 공격적인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도 최근 지표 호조로 다소 옅어진 상황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내년 국고채 발행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한 부분은 시장금리에 상당수준의 상승 압력 및 커브 스티프닝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국고채 발행 증가가 10년물 금리에 1조 원당 0.7~1.0bp 수준의 상승압력으로 추정되어 왔던 점을 감안하면 순증 물량 기준 23~34bp, 시장 예상치 기준 14~20bp 상승 압력"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런 수치가 단번에 선반영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실제 발행이 증가하고 이를 소화하는 내년 상반기까지 녹아드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연말까지 금리 상단을 3년물 최대 3.10%, 10년물 3.25% 수준까지 높일 수 있는 재료로 해석되며 커브 스티프닝 시점도 앞당겨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번 주에도 금리 조정 및 장단기 스프레드 확대 압력이 예상된다"면서 "다만 9월 국고채 발행계획 등 연말까지 수급여건이 타이트한 점은 변함이 없어 큰 폭의 약세는 아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고용지표는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폭에 대한 시장 전망에 가르마를 타 줄 요인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8월 고용은 16만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4.2%로 전월대비 0.1%P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미래에셋증권은 "시장 예상처럼 8월 실업률(예상: 4.2%) 추가 상승 제한될 경우 9월 50bp 인하 전망 확률(현재: 35%)은 조금 낮아지고 미 국채 2년 금리도 4%를 중심으로 횡보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국내 채권시장은 약보합세를 예상한다"면서 "그간 강세장을 이끌었던 국내외 통화정책 인하 모멘텀의 추가 확대에 제어가 걸리고 있으며, 외인의 국채선물 대규모 순매도 물량 출회 역시 확인됐다"고 진단했다.
*그림1*
jwo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간 전망·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일정 , 9월9일 월요일 (0) | 2024.09.09 |
---|---|
해외 금융시장 전망(09/02) (0) | 2024.09.01 |
week ahead / 2024-9-2-Mon (0) | 2024.09.01 |
week ahead / 2024-8-26-Mon (0) | 2024.08.26 |
2024年 9月 월간 주요 일정 (0) | 2024.08.25 |